2025년 정부 지원사업 총정리 - 7월 15일 현재 상황
🎯 2025년 정부 지원사업 완전정리
놓치면 후회하는 53가지 혜택 (7월 15일 기준)
⚠️ 지금 바로 필요한 사업을 체크하고 늦기 전에 지원하세요! ⚠️
🧑💼 청년지원 (24개 사업)
번호 | 지원 제도 | 신청기간 | 지원내용 요약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1 | 청년내일저축계좌 | 2025-04-20 ~ 2025-05-21 | 매달 10만 적립 → 정부 30만 매칭, 3년 후 최대 1,440만 | 종료됨 |
2 | 청년도약지원금 | 연중 | 무소득 청년 월 50만 × 6개월 = 총 300만 원 | 조기 마감 될 수 있으니 서둘러야 합니다! |
3 | 국민취업지원제도 | 상시접수 | 구직자에 월 50만 × 6개월 +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|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위험! |
4 | 내일배움카드 | 상시 | 훈련비 최대 500만 + 훈련수당 최대 월 81만 | 연중 수시 접수, 선착순 마감 가능 |
5 | 자격증 취득장려금 | 지자체 공고별 | 자격증 취득 시 30~100만 현금 지급 | 지자체별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|
6 | 공공근로 | 2025-06-01 ~ 2025-12-22 | 주 15~30시간 단기 일자리, 월 100~180만 + 4대 보험 | |
7 | 디지털 일자리 | 채용 공고 시 상시 | IT 재택근무, 월급 + 경력 인정 | 선착순 마감, 수시 지원 필요! |
8 | 청년마음건강지원 | ~ 2024-12-31 | 심리상담비 월 20만, 최대 연 240만 지원 | 종료됨 |
19 | 청년 예비창업패키지 | 연 1~2회 공고 | 창업 준비자금 최대 1억 + 창업 교육·멘토링 | |
20 |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| 연초·분기별 공고 | 지방기업 취업 시 연간 급여 + 정착지원금 제공 | 분기별 예산 한도 내 선착순 마감 |
21 | K-Digital Training | 상시신청 | IT·AI 직무교육 전액 무료 + 훈련수당 | 상시 지원, 인기 과정은 빨리 마감될 수 있음! |
22 | 청년희망적금 | 은행별 공고 시 | 월 50만 원 적립 + 정부 이자지원 (이자 36만 원 수준) | 한정 인원, 조기 마감 가능 |
23 | 청년청약통장(우대형) | 상시신청 | 월 2~50만 납입, 비과세 + 청약 가산점 | 은행별 한도 빠른 소진 가능 |
24 | 직업훈련수당 | 상시 | 훈련참여 시 월 20만 + 장려금 최대 61만 = 총 81만 지원 | 상시모집, 조기 마감될 수 있음 |
25 | 구직촉진수당 | 상시 | 월 50만 원 × 6개월 = 총 300만 | 상시 운영, 조기 예산 소진 주의 |
26 | 청년도전지원금 | 연 2회 내외 공고 | 6개월 미취업 시 월 50만 × 6개월 = 총 300만 | 기수별 신청 마감 놓치지 말 것! |
27 | 청년수당(지자체) | 지자체 공고 별도 | 월 50만 × 6, 지역화폐 지급 | 상시모집, 지역별 한정 인원 조기 마감 |
28 |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| 상시 (예산 소진 전까지) | 청년 1명 채용 후 1년 지속 시 1,200만 원 지원 | 선착순, 남은 예산 집중 확인! |
29 | 청년내일채움공제 | 상시 | 청년 3년 근속 시 본인+정부+기업 합쳐 최대 1,600만 원 | 상시모집이지만 조기 조정 가능 |
31 | 디지털 멘토 수당 | 분기별 공고 | 멘토링 5~10시간/주, 월 최대 40만 원 지급 | 다음 분기 모집예정, 준비 필수! |
32 | 대학원생 연구생활장려금 | 학기별 공고 | 석사생 월 80만, 박사생 월 110만 원 지급 | 학기별, 서두르지 않으면 마감! |
37 | 청년 의료비 지원 | 연 1~2회 공고 | 진료·약제비 최대 50만 원 지원 | |
38 | 청년 통신비 지원 | 통신사 이벤트 시 | 통신요금 최대 30만 원 감면 또는 지원 | |
39 | 청년 난방비 지원 | 동절기 한정(11~3월 등) | 난방비 1회성 최대 20만 원 지원 |
🏠 주거지원 (4개 사업)
번호 | 지원 제도 | 신청기간 | 지원내용 요약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9 | 청년 월세지원(서울시) | ~ 2025-02-25 | 1인 가구 기준 월 20만 원 × 1년 = 총 240만 | 신청 마감 |
10 | 청년 주거급여(분리지급) | ~ 2025-06-24 | 독립 생활 청년에게 월 최대 35만, 연 240만 | 신청 상시 가능 |
11 | LH 매입임대 | 2025-04-07 ~ 2025-04-09 | 보증금 100만 + 월세 5만 원대, 최장 6년 공급 | 종료됨 |
30 | 청년 주택드림대출 | 은행·정부24 공지 따름 | 분양가 80% 대출, 최저금리 2.2%, 최장 40년 |
💰 생활지원 (13개 사업)
번호 | 지원 제도 | 신청기간 | 지원내용 요약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12 | 에너지바우처 | 2025-06 ~ 2025-12-31 | 여름·겨울 냉난방비 1인 29만~4인가구 70만 지원 | |
13 | 공과금 바우처 | 상시 | 전기·가스·수도 등 연간 약 50만 원 감면 | 상시 진행, 예산 소진 시 마감될 수 있음! |
14 | 문화누리카드 | ~ 2024-12-31 | 문화생활 포인트 연 14만 원 지급 | 신규 발급, 재충전이 11월 30일 마감 |
15 | 근로자 휴가지원 | ~ 2025-12-31 | 본인 20만 + 정부 10만 + 기업 10만 = 총 40만 포인트 | 예산 소진 시 언제든 조기 마감 가능! |
17 | 근로장려금(EITC) | 5월, 9월 | 저소득 근로자에 연 최대 330만 원 환급 | |
33 | 한부모가족 양육비 | 상시 | 자녀 1인당 월 23만 + 필요시 추가 급여 | 상시 운영, 예산 여부 수시 확인 |
34 | 아동수당 | 상시 | 만 8세 미만 대상 월 10만 원 지급 | 지급 대상·연령 유의, 상시운영 |
35 | 부모급여 | 상시 | 0세 월 100만, 1세 월 50만 원 지급 | 신청 몰릴 경우 조기 마감 가능 |
36 | 결혼장려금(지자체) | 지자체 공고 시 | 신혼부부 최대 1,000만 원 지원 | 지역별 한시적, 조기 마감 주의 |
40 | 희망키움통장 | 연 2회 공고 | 월 10만 저축 시 정부 30만 매칭, 사회진입 목돈 지원 | 공고시 바로 준비, 마감 빠름 |
41 | 희망저축계좌 I·II | 상시 | 월 10~30만 매칭 지원, 조건 충족 시 지속적 적립 가능 | 상시 지급, 예산 변동 될 수 있음 |
42 | 내일키움통장 | 상시 또는 분기별 공고 | 자활참여자 월 5~20만 저축 시 정부 매칭 지원 | 상시 모집, 조기 마감 주의 |
54 | 마음 상담비 지원 | 상시 | 상담 8회 제공, 최대 1급 64만 / 2급 56만 제공 | 상시모집, 조기 예산 소진 위험! |
🏪 소상공인지원 (12개 사업)
번호 | 지원 제도 | 신청기간 | 지원내용 요약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16 | 두루누리 지원금 | 상시 | 4대 보험료 월 10만 원 지원 (연 최대 120만 원) | 지급 예산 조기 소진 위험! |
43 | 위생·안전관리비 지원 | 연 1~2회 공고 | 위생개선 설비비 50% 보조, 최대 1,000만 원 | |
44 | 간판·입식테이블 교체 | 지자체 공고 시 | 최대 200만 원 지원 | 예산 빠른 소진 주의 |
45 | 착한가격업소 시설개선 | 연 1회 이상 공고 | 시설 개보수비 최대 1,000만 원 지원 | 공고마다 선착순, 준비 필수 |
46 | 전통시장 환경개선비 | 반기/분기별 공고 | 전통시장 내 환경개선 4,000~5,000만 원 지원 | |
47 | 스마트상점 지원사업 | 연 1~2회 공고 | 디지털 기술 도입비 최대 500만 원 (70~100% 비율 보조) | |
48 | 시스템 개선 지원 | 연 1회 이상 공고 | 매장 관리 시스템 고도화 지원 | 공고시 빠른 신청 요망! |
49 | 판로개척 지원사업 | 수시 | 홍보, 유통채널 입점, 판촉 비용 등 최대 2,000만 원 지원 | 지속적인 공고, 선착순 소진 주의 |
50 | 홍보(광고)비 지원 | 상시 | 디지털 광고비 등 소상공인 홍보 비용 지원 | 상시 접수, 조기 소진 가능성 |
51 | 희망리턴패키지 | 수시 또는 연초 공고 | 임대료, 철거비 최대 400만 원 + 재창업 교육 | 수시모집, 조기 선발로 마감 |
52 | 지역별 자영업자 지원금 | 지자체 공고별 | 월 45~50만 원 정착지원금 형식 지급 | 지역별 예산 빠르게 마감될 수 있음! |
53 | 경영환경개선사업 | 연 1~2회 공고 | 점포 개선, 홍보, 교육 등 지원 (최대 300만 원) |
💡 카테고리별 신청 전략
- 🧑💼 청년지원: 취업준비생이라면 청년도약지원금+국민취업지원제도를 동시 신청하세요!
- 🏠 주거지원: 청년 주거급여(분리지급)와 청년 주택드림대출은 여전히 이용 가능합니다.
- 💰 생활지원: 에너지바우처, 공과금 바우처는 생활비 절약에 필수입니다.
- 🏪 소상공인지원: 두루누리 지원금은 상시 신청 가능하지만 예산 소진 위험이 높습니다!
- ⏰ 공통사항: 상시 모집이라도 예산 소진 시 언제든 마감될 수 있으니 서둘러 신청하세요.
- 📋 신청 팁: 복지로(bokjiro.go.kr)에서 대부분의 사업을 한 번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.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