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청년·저소득층 주거 생계 정부지원 총정리 – 월세·주거급여·공과금·에너지바우처 한눈에 신청하는 방법
2025년 주거·생계 정부지원 사업 총정리
월세·주거급여·공과금·에너지바우처까지!
2025년 최신 정부지원으로 주거비 부담 확 줄이세요.
2025년 최신 정부지원으로 주거비 부담 확 줄이세요.
🎯 지원대상 및 혜택 한눈에 보기
-
1. 청년 월세지원
만 19~34세(서울 39세) 무주택 청년 1인 가구, 월 최대 20만 원×12개월(최대 240만 원) -
2. 청년 주거급여
주거급여 수급가구 내 만 19~30세 미혼 청년, 부모와 분리 거주 시 월 최대 35만 원(지역별 차등) -
3. 공과금 바우처
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정 등, 전기·가스·수도 등 연 최대 50만 원 지원 -
4. 에너지바우처
기초생활수급자 등 에너지 취약계층, 연 29만~70만 원 냉·난방비 바우처 지급
💡 월세·공과금·에너지비 부담, 정부지원으로 한 번에 해결! 2025년 최신 제도와 신청방법을 꼭 확인하세요.
🏠 청년 월세지원
📅 신청기간: 2025년 6~7월(지자체별 상이, 조기마감 가능)
- 지원절차
1. 복지로 또는 서울주거포털 등 온라인 신청(지자체별)
2. 소득·재산 심사 및 자격 확인
3. 대상자 선정 후 매월 본인 계좌로 지급 - 지원대상
만 19~34세(서울 39세) 무주택 청년 1인 가구, 중위소득 150% 이하, 임차보증금·월세 기준 충족 - 자격
임차보증금 8천만 원 이하, 월세 60만 원 이하(서울 기준), 보증금+월세 환산액 93만 원 이하 - 지원내용
월 최대 20만 원, 12개월간 현금 지급(최대 240만 원) - 준비서류
신분증, 임대차계약서, 소득증빙, 통장사본 등
🏠 청년 주거급여(분리지급)
📅 신청기간: 연중 상시
- 지원절차
1. 부모가 거주하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
2. 청년·부모 모두 신청서 및 서류 제출, 소득·분리거주 심사
3. 대상자 선정 후 청년 명의 계좌로 매월 지급 - 지원대상
주거급여 수급가구 내 만 19~30세 미혼 청년, 부모와 분리 거주, 임대차계약·전입신고 필수 - 자격
부모와 주민등록상 시군이 달라야 하며, 임대차계약 및 전입신고 완료 - 지원내용
월 최대 35만 원(서울 1인 기준, 지역별 차등), 청년 명의 계좌로 지급 - 준비서류
사회보장급여 신청서, 분리지급 신청서, 임대차계약서, 임차료 증빙, 통장사본 등
💡 공과금 바우처
📅 신청기간: 2025년 5~12월(지자체별 상이)
- 지원절차
1.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
2. 신청서 및 서류 제출, 자격 심사
3. 대상자 선정 후 각종 공과금 자동 차감 또는 현금 지급 - 지원대상
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정, 장애인, 독거노인 등 - 자격
공과금 부담이 큰 저소득층, 에너지 취약계층 - 지원내용
전기·가스·수도·난방비 등 월 최대 4~5만 원, 연 최대 50만 원 지원 - 준비서류
신분증, 공과금 고지서, 통장사본 등
🔥 에너지바우처(냉·난방비)
📅 신청기간: 2025년 6월 9일~12월(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)
- 지원절차
1.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, 에너지바우처 홈페이지 신청
2. 신청서 및 서류 제출, 자격 심사
3. 대상자 선정 후 전기·가스·지역난방 고지서 자동 차감 또는 국민행복카드 지급 - 지원대상
기초생활수급자 중 65세 이상, 장애인, 7세 이하 영유아, 임산부, 한부모가정 등 - 자격
에너지 취약계층, 세대원 조건 충족 시 - 지원내용
세대 평균 36만 7천 원(1인 29만~4인 70만 원), 냉·난방비 바우처 지급 - 준비서류
신분증, 사회보장급여 신청서, 통장사본 등
댓글
댓글 쓰기